안동교회 예배처소의 변화와 안동지역의 복음화(3) > 뉴스 | 경북하나신문 하나굿뉴스

기사상세페이지

안동교회 예배처소의 변화와 안동지역의 복음화(3)

박은숙 기자  /  기사입력 2020.10.22 12:53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s url
    한국기독역사의 발자취(8)
    김승학 목사의 논문 연재(8) - 안동교회 예배처소의 변화와 안동지역의 복음화(3)

    안동교회 예배처소의 변화와 안동지역의 복음화(3)

     

     

    김승학목사(서재).jpg

    김승학 목사

    신학과 교수/기독교교육학

    안동교회 담임목사

     

     

    목차

    서론

    1. 첫 번째: 기독서원(基督書院)

    2. 두 번째: 선교사 임시주택

    3. 세 번째: 선교사 주택

    4. 비공식 예배처소: 텐트 교회

    5. 네 번째: 16자 예배당

    6. 다섯 번째: 목조 2층 예배당

    7. 여섯 번째: 2층 돌집예배당

    결론

     

     

    3. 세 번째 예배처소 : 선교사 주택(2)

     

    초기 안동선교 보고와 사진에 따르면 금곡동 선교사 영구사택은 1910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었던 것 같다. 에비여사의 글에 따르면 19101024일 지부를 세울 대지를 구획, 땅을 고르기 시작했음을 밝힌다.

     

    또한, 안동교회 80년사는 4차례에 걸쳐 건축된 선교사 주택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안동선교부 초기 두 달씩 발행된 선교 캘린더에 사용된 사진의 배경은 당시 선교사 주택과 안동의 생활상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때 안동교회는 어떤 이유였는지 모르지만 선교사들이 새로 구입한 임시주택으로 세 번째 예배처소를 옮겼음을 안동교회 80년사는 기록한다. 이에 대해 김광현 목사는 선교부지 동산을 구입하고자 했지만 주민들이 쉽게 팔지 않아 할 수 없이 동문 밖 안동교도소 자리 일부를 구입했고, 이 주택을 수리해 예배처소로 사용했다고 증언한다.

     

    선교사들이 거주할 영구사택을 건축하는 동안 임시로 사용할 주택을 구입했는데, 이곳이 안동교회 세 번째 예배처소였으며, 위치는 구() 안동교도소 자리에 있던 기와지붕 건물이었다. 하지만 이곳은 당시로 볼 때는 첫 번째 예배를 드렸던 처소로부터 동쪽으로 무척 멀리 떨어진 곳이었다. 새로운 예배처소는 거리뿐 아니라 1년여 동안 익숙하게 모였던 예배처소에 비해 생소했을 것이고, 따라서 회중들이 불편하게 느꼈을 가능성이 있다.

     

    오월번 선교사 가족은 191077일 이곳으로 이사했다. 안동교회 첫 자 예배당이 19101030일 입당했기에, 4개월 가까이 이곳은 안동교회의 세 번째 예배당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 선교캘린더 중에서 19113·4월용 캘린더에 수록된 한 장의 사진과 에비여사가 소장한 사진은 안동교회의 세 번째 예배처소를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사진 5는 오월번 선교사 가족이 기독서원 건너편에 존재하던 첫 번째 거주지를 떠나 두 번째로 거주했던 임시주택이다. 그런데 오월번 선교사 가족은 첫 번째 임시가옥에서 약 1달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머물렀기 때문에 이 두 번째 주택을 안동의 첫 번째 가정’(First home in Andong)으로 부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오월번 선교사의 부인인 새디(Sadie) 선교사가 19106월 미국에 있는 친구들과 후원자들에게 보낸 편지에 따르면 오월번 선교사 가족은 안동읍 동쪽 끝에 위치한 가옥에서 살고 있었고, 안동교회의 당시 모임 장소는 수리하여 별의추 선교사가 일부 사용하고 있던 임시 선교기지였다. 바로 이 주택이 앞서 언급한 구 안동교도소에 위치한 오월번 선교사의 두 번째 가옥인 동시에 안동교회의 세 번째 예배처소로 추정된다.

     

    에비여사에 따르면 이곳에서 여성을 위해 매주 목요일마다 부인성경공부반이 열렸는데, 첫 번째 모임에 무려 75명이 모였지만 진심으로 성경공부를 원하는 사람을 추려낸 결과 25명으로 한 반을 구성했다고 한다. 이후에도 여성성경공부반은 일주일에 두 번씩 오월번 선교사 사택에서 모여 새디 선교사가 월요일에는 젊은 여성반, 목요일에는 중년 여성반을 인도하였다. 하지만 이 주택은 사용하기 불편해 철거했고, 철거한 후 가옥에 사용되었던 목재는 폐기처분을 하지 않고 1911년 처음으로 시작한 사립 초등학교인 계명학교를 건축할 때 사용되었음을 안동교회 80년사는 기록하고 있다.

     

    사진1.jpg

    금곡동 선교부지에 사택을 준공하기 전 까지 오월번 선교사 가족이 생활했던 주택으로 오월번 선교사는 이 주택을 안동의 '첫 번째 가정'(First home in Andong)으로 부른다. 이 사택을 철거할 때 수거한 건축자재로 금곡동에 계명학교를 건축하였다. 후에 안동교회가 서 있는 현재 위치로 계명학교는 이전했다.(사진 5)

     

    4. 비공식적인 예배처소 : 텐트 교회(Tent Church)

    오래전부터 현재 까지 전해 내려오는 두 장의 사진은 거의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데, 안동지역 교회에 전해져 내려오는 선교 초기 사진으로 텐트(Tent)와 초가집을 볼 수 있다. 안동에서 활동했던 선교사 중의 누군가가 직접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두 장의 사진 앞면과 후면에는 이 천막을 천막 교회(Tent church)임을 명기하고 있다. 한국선교 초기 사진에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텐트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것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고, 특히 안동지역의 경우는 안동교회 예배당을 신축하기 전에 임시 예배처소로 사용하기 위해서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사진 6의 뒷면에는 안동교회의 첫 번째 신축 예배당에 관해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될 만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익명의 선교사가 사진 후면에 직접 쓴 두 글을 볼 때 사진 6은 안동교회 최초의 예배당인 16자 예배당을 건축하는 동안 성도들이 예배를 드리는 장소로 천막(Tent)을 쳤고, 천막 옆 마당에는 예배당 신축을 위해 만든 진흙 벽돌과 건축자재가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텐트 교회는 안동 최초의 병원과 함께 사용되었다. 이 병원은 주일에는 교회로, 평일에는 병원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사진 6은 오랫동안 안동 최초의 병원인 안동성소병원으로 추정되고 있는 사진이다. 또한 마당에는 진흙 벽돌과 건축 기자재가 쌓여 있는데, 선교사가 사진 뒤에 기록한 글을 보면 실제 교회(real church)를 건축하기 위한 자재라고 기록한다. 따라서 이 텐트 교회에서 예배를 드린 것은 안동교회 최초의 16자 예배당을 건축하기 전의 예배처소로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텐트 교회는 사진 배경을 고려할 때 오늘날 안동교회 터의 일부에 속할 가능성이 크다.

     

    사진2.jpg

    여러 사람들이 모여 있는 텐트(Tent)와 초가집, 밭고랑, 인근의 여러 초가집, 그리고 마당에 있는 진흙벽돌과 건축 자재가 눈길을 끈다. 특히 분명한 흰색의 십자가가 텐트 위에 있다.(사진 6)

     

    /논문 발췌정리=박은숙 기자/

    <논문 원본 www.gbhana.com>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