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구름많음속초17.0℃
  • 구름조금25.0℃
  • 맑음철원23.8℃
  • 맑음동두천23.0℃
  • 맑음파주23.0℃
  • 흐림대관령11.6℃
  • 구름조금춘천24.6℃
  • 맑음백령도17.6℃
  • 비북강릉15.6℃
  • 구름많음강릉16.3℃
  • 구름많음동해17.4℃
  • 맑음서울23.8℃
  • 맑음인천20.7℃
  • 맑음원주24.3℃
  • 구름많음울릉도17.6℃
  • 맑음수원21.6℃
  • 구름많음영월19.7℃
  • 맑음충주23.7℃
  • 맑음서산21.8℃
  • 구름많음울진16.7℃
  • 맑음청주24.0℃
  • 맑음대전23.8℃
  • 맑음추풍령22.4℃
  • 구름조금안동23.9℃
  • 맑음상주24.3℃
  • 흐림포항18.6℃
  • 맑음군산20.9℃
  • 구름많음대구25.7℃
  • 맑음전주22.1℃
  • 구름많음울산19.2℃
  • 구름조금창원22.9℃
  • 맑음광주22.8℃
  • 구름많음부산21.4℃
  • 구름많음통영23.8℃
  • 맑음목포20.2℃
  • 맑음여수25.2℃
  • 맑음흑산도18.7℃
  • 맑음완도23.0℃
  • 맑음고창21.0℃
  • 맑음순천22.1℃
  • 맑음홍성(예)22.3℃
  • 맑음22.0℃
  • 맑음제주21.9℃
  • 맑음고산18.4℃
  • 맑음성산21.6℃
  • 맑음서귀포23.7℃
  • 맑음진주25.8℃
  • 맑음강화20.8℃
  • 맑음양평24.2℃
  • 맑음이천23.5℃
  • 구름조금인제18.4℃
  • 맑음홍천24.1℃
  • 흐림태백12.5℃
  • 구름많음정선군18.7℃
  • 맑음제천22.3℃
  • 맑음보은22.6℃
  • 맑음천안22.6℃
  • 맑음보령20.0℃
  • 맑음부여23.3℃
  • 맑음금산22.7℃
  • 맑음23.2℃
  • 맑음부안20.2℃
  • 맑음임실21.2℃
  • 맑음정읍21.6℃
  • 구름조금남원22.9℃
  • 구름조금장수19.8℃
  • 맑음고창군21.6℃
  • 맑음영광군20.2℃
  • 구름많음김해시22.0℃
  • 맑음순창군22.6℃
  • 구름많음북창원24.3℃
  • 구름조금양산시23.2℃
  • 맑음보성군24.8℃
  • 맑음강진군23.7℃
  • 맑음장흥23.1℃
  • 맑음해남21.9℃
  • 맑음고흥25.3℃
  • 구름조금의령군25.9℃
  • 맑음함양군24.9℃
  • 맑음광양시24.7℃
  • 맑음진도군20.5℃
  • 구름많음봉화18.1℃
  • 맑음영주22.8℃
  • 맑음문경23.1℃
  • 구름많음청송군18.3℃
  • 구름많음영덕16.9℃
  • 구름조금의성24.9℃
  • 맑음구미25.2℃
  • 구름많음영천20.1℃
  • 흐림경주시20.2℃
  • 맑음거창23.6℃
  • 구름조금합천26.8℃
  • 구름많음밀양24.2℃
  • 맑음산청24.9℃
  • 구름조금거제22.6℃
  • 맑음남해25.5℃
  • 구름많음23.1℃
기상청 제공
산티아고에 잘 다녀왔습니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티아고에 잘 다녀왔습니다.

천석길 목사의 영성칼럼

천석길 목사.jpg

천석길 목사

구미남교회

      

산티아고 순례길이라는 말은 스페인의 산티아고에 있는 성당을 향하는 9개의 길을 말합니다. 그중에 가장 많이 알려진 코스는 프랑스에서 출발하여 피레네 산맥을 넘어서 가는 800km의 길입니다. 이번에 천 목사가 보름간 그 절반을 걸어서 다녀온 길입니다. 첫날, 해발 1650미터의 피레네 산맥을 넘을 것인가? 아니면 우회해서 걷기 쉬운 평탄한 길을 갈 것인가를 선택해야 하는데 당연히 산을 넘어서 걷는 길을 택했습니다. 그래서 동이 트기 전 이른 새벽에 침낭, 옷, 세면도구가 들어있는 배낭을 메고 그 산에 올랐습니다. 산이 높았기에 일교차가 있었고, 산이 높아질수록 점점 힘에 부치기도 했습니다. 정상쯤에 이르러서는 강풍으로 인해서 앞을 향해서 걷기가 힘이 들기도 했습니다.

 

그 산을 한 걸음 한 걸음 걸으면서 여러 가지 생각이 많았습니다. ‘이렇게 힘든 코스에 왜 쉬는 집이 없을까?’ ‘아니 이러다 중간에서 퍼지면 어떻게 하려고 이런 무지막지한 길을 걷게 할까?’(실제로 걷다가 죽는 사람들도 있답니다)라는 생각과 함께 걸었습니다. 그렇게 걷기 시작한 며칠 후에 깨달음이 있었습니다. 그 산을 넘어온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입니다. 처음부터 힘든 산을 넘어온 사람들은 앞으로 만나는 작은 산들의 힘듦은 아무것도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산을 넘지 않고 우회해서 온 사람들은 중간 중간에 자꾸만 우회할 길을 찾거나 아예 힘들어서 포기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합니다.

 

‘800키로나 되는 그 먼 길에 왜 첫날부터 가장 힘든 산을 넘게 했을까?’ ‘왜 거기에 산이 있었을까?’ 그 길을 걸으면서 거기에 산이 있었던 이유를 깨달았습니다. 아쉬운 것은 그때 강풍이 몰아치던 그 지점이 지나고 보니 사진 찍을 곳이 많았는데 걷기에 바빠서 못 찍었습니다. 지나고 보니 그 지점에서 좀 더 천천히 무언가를 생각하면서 걸었어야 했는데 걷기에만 바빠서 아무런 생각을 못 했습니다.

 

우리가 만나는 사람도 우리가 해야 하는 일도 어쩌면 그 산과 같지 싶습니다. 돌아서 가면 편하겠지만 내공이 쌓이지 않을 것이고, 당당하게 맞서서 그 산을 넘으면 그다음부터는 웬만한 산을 만나도 웃을 수 있는 여유가 생겨날 것입니다. 그 산이 거기에 있는 이유를 지나온 뒤에 알았습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