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30 (목)

  • 흐림속초18.9℃
  • 흐림22.5℃
  • 흐림철원21.9℃
  • 흐림동두천21.8℃
  • 흐림파주21.4℃
  • 흐림대관령20.2℃
  • 흐림춘천22.8℃
  • 흐림백령도17.3℃
  • 흐림북강릉22.0℃
  • 흐림강릉23.8℃
  • 흐림동해22.7℃
  • 흐림서울24.0℃
  • 흐림인천22.5℃
  • 흐림원주24.2℃
  • 구름많음울릉도23.1℃
  • 흐림수원24.9℃
  • 흐림영월24.4℃
  • 흐림충주25.1℃
  • 흐림서산25.7℃
  • 구름많음울진25.0℃
  • 흐림청주25.2℃
  • 흐림대전24.6℃
  • 흐림추풍령24.2℃
  • 구름많음안동25.8℃
  • 흐림상주24.6℃
  • 흐림포항26.0℃
  • 흐림군산23.4℃
  • 흐림대구25.3℃
  • 흐림전주24.7℃
  • 흐림울산23.4℃
  • 흐림창원23.4℃
  • 구름많음광주23.8℃
  • 흐림부산23.4℃
  • 흐림통영22.0℃
  • 구름조금목포25.0℃
  • 구름많음여수22.3℃
  • 흐림흑산도23.8℃
  • 흐림완도23.4℃
  • 흐림고창25.4℃
  • 흐림순천23.2℃
  • 흐림홍성(예)25.4℃
  • 흐림23.9℃
  • 구름많음제주22.7℃
  • 흐림고산21.4℃
  • 구름많음성산22.8℃
  • 구름많음서귀포24.1℃
  • 흐림진주24.3℃
  • 흐림강화21.2℃
  • 흐림양평22.7℃
  • 흐림이천24.1℃
  • 흐림인제22.7℃
  • 흐림홍천22.2℃
  • 흐림태백24.4℃
  • 흐림정선군25.9℃
  • 흐림제천24.4℃
  • 흐림보은24.1℃
  • 흐림천안24.7℃
  • 흐림보령25.4℃
  • 흐림부여24.6℃
  • 흐림금산23.6℃
  • 흐림24.6℃
  • 흐림부안24.3℃
  • 흐림임실24.3℃
  • 구름많음정읍25.9℃
  • 흐림남원23.9℃
  • 흐림장수22.8℃
  • 흐림고창군23.7℃
  • 흐림영광군24.5℃
  • 흐림김해시22.8℃
  • 흐림순창군24.0℃
  • 흐림북창원24.9℃
  • 흐림양산시24.6℃
  • 구름많음보성군24.4℃
  • 구름많음강진군24.3℃
  • 구름많음장흥24.0℃
  • 흐림해남23.3℃
  • 흐림고흥23.9℃
  • 흐림의령군25.5℃
  • 흐림함양군24.5℃
  • 구름많음광양시24.6℃
  • 구름많음진도군22.5℃
  • 구름많음봉화25.0℃
  • 흐림영주26.4℃
  • 흐림문경24.8℃
  • 구름많음청송군26.4℃
  • 구름많음영덕26.4℃
  • 구름많음의성25.8℃
  • 흐림구미24.8℃
  • 흐림영천24.1℃
  • 흐림경주시25.8℃
  • 흐림거창23.4℃
  • 흐림합천25.5℃
  • 흐림밀양24.7℃
  • 흐림산청24.0℃
  • 흐림거제21.4℃
  • 흐림남해22.9℃
  • 흐림24.1℃
기상청 제공
주의 기도(5)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의 기도(5)

브라더 앤드류 칼럼

브라더 앤드류1.jpg

브라더 앤드류 

오픈도어 설립자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의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6:12)

 

나는 중동에서 사는 친구를 방문한 적이 있었다. 때때로 나는 대단히 특별한 그리스도인을 발견한다! 나의 방문 중에 팔레스타인 국적의 어떤 자매를 만나게 되었다.

 

그 자매는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앤드류, 기독교는 나에게 매일의 헌신을 뜻합니다. 내가 가장 어려워하는 일은 원수를 용서하는 일입니다. 나와 내 형제자매들을 죽이며 고향에서 우리를 쫓아내려는 사람들을 어떻게 용서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용서해야만 하지요. 나는 하나님 앞에 엎드려서 이 문제를 높고 땀을 흘립니다. ‘하나님, 저는 저 원수들을 용서합니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매일 저지르는 일을 봅니다. 시체와 고통과 피를 봅니다. 용서하려고 노력하지만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기도하지요. ‘하나님, 용서할 수 있도록 저를 도우셔야만 합니다라고.”

 

우리는 종종 주의 기도에서 용서의 부분을 떨쳐 버릴 수 있는 것처럼 생각한다. 우리는 용서하는 것처럼 고백도 하고 생각도 한다. 하지만 사소한 원한을 품고 다니며 수년 전에 당한 모욕과 공격을 집요하게 기억하며 살아간다. 그런데도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며 원한을 품고 다닌다고 해서 별로 해가 되는 것도 없다고 생각하기에 용서하는 마음이 없는 것을 가지고 씨름하며 기도하지도 않는다.

 

때론 그들이 내게 와서 용서를 빌면 기꺼이 용서해 줄 마음은 있어라고 말한다. 1800년대 초에 살았던 하인리히 하이네(Heinrich Heine)와 같은 태도를 취하기도 한다. 그는 원수를 용서해야 한다. 하지만 원수가 교수형을 당한 후에 비로소 용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말을 들으면 우리는 물론 웃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도 같은 마음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모두 용서해야 할 것이 있으나 용서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가 어떤 일을 잘못했다고 인정하기 싫어서 용서를 구하지 않는 것과 같다. 우리는 죄를 인정하고 변화되는 쪽보다는 죄를 합리화하려고 한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죄에 대해서 우리는 우리 자신이 그들을 벌주는 한이 있더라도 그들이 처벌받기를 원한다.

 

그러나 우리는 앞서 언급한 팔레스타인의 한 자매처럼 용서하지 못하는 자신의 마음과 분노를 씻어버리려고 아주 진지하게 애쓰지 않는다면, 우리의 기도 생활은 용서하지 못하는진흙탕 속에 빠져 하나님이 우리 안에 그리고 우리를 통해서 하시려는 일을 볼 수 없게 될 것이다.

 

(오픈도어 제공)

관련기사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