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 구름많음속초18.9℃
  • 흐림23.3℃
  • 구름많음철원23.4℃
  • 구름많음동두천24.1℃
  • 구름조금파주25.7℃
  • 구름많음대관령13.4℃
  • 구름많음춘천24.3℃
  • 맑음백령도22.5℃
  • 구름많음북강릉17.2℃
  • 구름많음강릉19.8℃
  • 구름많음동해18.9℃
  • 구름많음서울24.5℃
  • 맑음인천22.2℃
  • 구름많음원주23.9℃
  • 구름조금울릉도18.6℃
  • 구름조금수원24.3℃
  • 구름많음영월23.0℃
  • 구름많음충주24.1℃
  • 맑음서산25.0℃
  • 흐림울진18.5℃
  • 구름조금청주26.5℃
  • 구름조금대전26.8℃
  • 구름많음추풍령23.2℃
  • 구름조금안동23.2℃
  • 구름많음상주24.8℃
  • 흐림포항19.1℃
  • 구름조금군산22.5℃
  • 구름많음대구25.5℃
  • 구름조금전주25.1℃
  • 흐림울산18.9℃
  • 구름많음창원22.6℃
  • 구름많음광주26.3℃
  • 구름많음부산22.2℃
  • 구름많음통영24.8℃
  • 구름많음목포22.3℃
  • 구름많음여수24.0℃
  • 구름많음흑산도22.4℃
  • 흐림완도24.1℃
  • 구름조금고창25.9℃
  • 구름많음순천25.6℃
  • 구름조금홍성(예)24.8℃
  • 맑음24.9℃
  • 흐림제주22.7℃
  • 흐림고산20.5℃
  • 흐림성산24.4℃
  • 흐림서귀포24.2℃
  • 구름많음진주28.2℃
  • 맑음강화22.3℃
  • 구름조금양평24.4℃
  • 구름많음이천27.1℃
  • 구름많음인제20.8℃
  • 구름많음홍천24.6℃
  • 흐림태백14.9℃
  • 흐림정선군19.1℃
  • 구름많음제천23.8℃
  • 구름조금보은24.7℃
  • 맑음천안25.4℃
  • 구름조금보령23.6℃
  • 구름조금부여25.3℃
  • 구름많음금산24.0℃
  • 맑음25.6℃
  • 구름조금부안23.4℃
  • 맑음임실25.0℃
  • 맑음정읍26.5℃
  • 구름조금남원26.8℃
  • 구름조금장수22.5℃
  • 맑음고창군26.4℃
  • 구름조금영광군25.2℃
  • 구름많음김해시23.7℃
  • 맑음순창군25.2℃
  • 구름많음북창원26.4℃
  • 구름많음양산시23.2℃
  • 구름많음보성군26.9℃
  • 구름많음강진군26.5℃
  • 구름많음장흥26.6℃
  • 구름많음해남25.3℃
  • 구름많음고흥27.3℃
  • 구름많음의령군28.6℃
  • 구름많음함양군27.3℃
  • 구름많음광양시26.6℃
  • 흐림진도군21.0℃
  • 흐림봉화18.5℃
  • 구름많음영주22.8℃
  • 구름조금문경24.7℃
  • 구름많음청송군21.2℃
  • 구름많음영덕17.9℃
  • 구름많음의성25.2℃
  • 구름많음구미27.1℃
  • 구름많음영천21.4℃
  • 흐림경주시21.5℃
  • 구름많음거창26.0℃
  • 구름많음합천27.2℃
  • 구름많음밀양26.5℃
  • 구름많음산청26.8℃
  • 구름많음거제22.9℃
  • 구름많음남해25.5℃
  • 구름많음23.2℃
기상청 제공
주의 기도(5)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의 기도(5)

브라더 앤드류 칼럼

브라더 앤드류1.jpg

브라더 앤드류 

오픈도어 설립자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의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6:12)

 

나는 중동에서 사는 친구를 방문한 적이 있었다. 때때로 나는 대단히 특별한 그리스도인을 발견한다! 나의 방문 중에 팔레스타인 국적의 어떤 자매를 만나게 되었다.

 

그 자매는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앤드류, 기독교는 나에게 매일의 헌신을 뜻합니다. 내가 가장 어려워하는 일은 원수를 용서하는 일입니다. 나와 내 형제자매들을 죽이며 고향에서 우리를 쫓아내려는 사람들을 어떻게 용서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용서해야만 하지요. 나는 하나님 앞에 엎드려서 이 문제를 높고 땀을 흘립니다. ‘하나님, 저는 저 원수들을 용서합니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매일 저지르는 일을 봅니다. 시체와 고통과 피를 봅니다. 용서하려고 노력하지만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기도하지요. ‘하나님, 용서할 수 있도록 저를 도우셔야만 합니다라고.”

 

우리는 종종 주의 기도에서 용서의 부분을 떨쳐 버릴 수 있는 것처럼 생각한다. 우리는 용서하는 것처럼 고백도 하고 생각도 한다. 하지만 사소한 원한을 품고 다니며 수년 전에 당한 모욕과 공격을 집요하게 기억하며 살아간다. 그런데도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며 원한을 품고 다닌다고 해서 별로 해가 되는 것도 없다고 생각하기에 용서하는 마음이 없는 것을 가지고 씨름하며 기도하지도 않는다.

 

때론 그들이 내게 와서 용서를 빌면 기꺼이 용서해 줄 마음은 있어라고 말한다. 1800년대 초에 살았던 하인리히 하이네(Heinrich Heine)와 같은 태도를 취하기도 한다. 그는 원수를 용서해야 한다. 하지만 원수가 교수형을 당한 후에 비로소 용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말을 들으면 우리는 물론 웃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도 같은 마음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모두 용서해야 할 것이 있으나 용서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가 어떤 일을 잘못했다고 인정하기 싫어서 용서를 구하지 않는 것과 같다. 우리는 죄를 인정하고 변화되는 쪽보다는 죄를 합리화하려고 한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죄에 대해서 우리는 우리 자신이 그들을 벌주는 한이 있더라도 그들이 처벌받기를 원한다.

 

그러나 우리는 앞서 언급한 팔레스타인의 한 자매처럼 용서하지 못하는 자신의 마음과 분노를 씻어버리려고 아주 진지하게 애쓰지 않는다면, 우리의 기도 생활은 용서하지 못하는진흙탕 속에 빠져 하나님이 우리 안에 그리고 우리를 통해서 하시려는 일을 볼 수 없게 될 것이다.

 

(오픈도어 제공)

관련기사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