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30 (목)

  • 흐림속초19.8℃
  • 흐림23.1℃
  • 흐림철원22.5℃
  • 흐림동두천22.0℃
  • 흐림파주22.4℃
  • 흐림대관령19.2℃
  • 흐림춘천23.6℃
  • 흐림백령도17.2℃
  • 흐림북강릉19.8℃
  • 흐림강릉22.5℃
  • 흐림동해24.3℃
  • 흐림서울24.1℃
  • 흐림인천22.5℃
  • 흐림원주24.8℃
  • 흐림울릉도19.4℃
  • 흐림수원23.8℃
  • 흐림영월24.2℃
  • 흐림충주24.8℃
  • 흐림서산23.4℃
  • 흐림울진23.6℃
  • 흐림청주25.8℃
  • 흐림대전25.0℃
  • 흐림추풍령23.7℃
  • 흐림안동25.0℃
  • 흐림상주24.7℃
  • 흐림포항26.0℃
  • 흐림군산24.7℃
  • 흐림대구25.7℃
  • 흐림전주25.6℃
  • 흐림울산24.4℃
  • 구름많음창원25.0℃
  • 흐림광주26.0℃
  • 흐림부산22.8℃
  • 흐림통영22.5℃
  • 흐림목포24.2℃
  • 흐림여수22.7℃
  • 흐림흑산도20.8℃
  • 흐림완도25.4℃
  • 흐림고창27.1℃
  • 흐림순천24.3℃
  • 흐림홍성(예)24.7℃
  • 흐림24.1℃
  • 흐림제주23.1℃
  • 구름많음고산21.4℃
  • 구름많음성산23.5℃
  • 구름많음서귀포23.6℃
  • 구름많음진주26.5℃
  • 흐림강화21.9℃
  • 흐림양평23.1℃
  • 흐림이천23.3℃
  • 흐림인제22.5℃
  • 흐림홍천23.5℃
  • 흐림태백21.0℃
  • 흐림정선군25.3℃
  • 흐림제천24.4℃
  • 흐림보은23.5℃
  • 흐림천안24.9℃
  • 흐림보령22.3℃
  • 흐림부여24.3℃
  • 흐림금산24.7℃
  • 흐림24.4℃
  • 흐림부안24.2℃
  • 흐림임실24.0℃
  • 흐림정읍26.5℃
  • 흐림남원25.0℃
  • 흐림장수23.6℃
  • 흐림고창군25.8℃
  • 흐림영광군25.2℃
  • 구름많음김해시25.1℃
  • 흐림순창군25.2℃
  • 흐림북창원25.4℃
  • 구름많음양산시25.8℃
  • 흐림보성군24.1℃
  • 흐림강진군25.4℃
  • 흐림장흥24.2℃
  • 흐림해남24.5℃
  • 흐림고흥23.8℃
  • 구름많음의령군27.1℃
  • 흐림함양군25.5℃
  • 흐림광양시25.5℃
  • 흐림진도군22.7℃
  • 흐림봉화24.2℃
  • 흐림영주25.0℃
  • 흐림문경24.7℃
  • 흐림청송군24.8℃
  • 흐림영덕20.6℃
  • 흐림의성24.8℃
  • 흐림구미25.6℃
  • 흐림영천24.6℃
  • 흐림경주시26.0℃
  • 흐림거창23.8℃
  • 흐림합천25.4℃
  • 흐림밀양25.9℃
  • 구름많음산청25.1℃
  • 흐림거제23.5℃
  • 흐림남해23.6℃
  • 구름많음26.8℃
기상청 제공
최선을 다하는 삶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선을 다하는 삶

이정우 목사의 신앙칼럼

안동서부교회 이정우 담임목사.jpg

이 정 우 목사

안동서부교회

 

 

 

어느 96세 된 할아버지와 92세 된 할머니가 결혼 7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결혼 70주년 기념’이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인터뷰에서 아나운서가 할아버지에게 짓궂은 질문을 했습니다. “할아버지, 만일에 죽었다가 다시 태어난다 하더라도 할머니와 결혼하겠습니까?”라고 물었더니, 할아버지는 가만히 있다가 “좀 생각해 봐야겠는데요.”라며 대답이 시원치 않았습니다. 다음은 할머니에게 아나운서가 물었습니다. “할머니, 죽었다가 다시 태어나는 길이 있다면 다시 할아버지와 결혼하겠습니까?” 했더니 대답이 전혀 달랐습니다. 할머니의 대답은 “내가 돌보아 주어야죠.”였습니다. 할머니는 내가 사랑한다 안 한다, 다시 결혼한다 안 한다가 아니라 저 사람에겐 내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할머니의 대답, “내가 돌보아 주어야죠” 바로 이것이 사랑입니다.


사랑이라는 말처럼 어려운 말이 없습니다. 사랑이 에로스냐 아가페냐 이건굉장히 중요한 철학적 이론입니다. 그러나 또한 쉽게 분류하자면, 에로스라는 사랑은 항상 나를 중심으로 합니다. 나를 위해서 상대방을 사랑하는 것이고, 나에게 당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내가 너를 돕고 있으며, 사랑의 이름으로 상대방을 괴롭히기도 합니다. 사랑의 이름으로 남편을 못살게 하기도 하고, 사랑의 이름으로 아내를 힘들게 하기도 합니다. 모든 사랑이 자기중심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아가페란 사랑은 내가 사랑하는 그 상대방에게로 중심이 옮겨가고, 그를 중심으로 생각하고, 그에게 전적으로 맡기는 것입니다. 요한복음 21장을 보면 예수님을 세 번 부인한 베드로에게 주님이 동일하게 세 번 질문하는 광경이 나옵니다. 예수님께서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이 질문 앞에 베드로는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을 주께서 아십니다”라고 답을 합니다. 사랑하는 그것마저도 당신이 아신다는 것입니다. 욥기 23장 10절에 보면“나의 가는 길을 오직 그가 아시나니 나를 단련하신 후에 내가 정금같이 나오리라.”란 욥의 고백이 나옵니다. 욥의 고백은 “나의 운명, 나의 현실, 나의 모든 것을 하나님이 아신다”는 겸손한 고백입니다. 이와 같이 베드로도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 주께서 아십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고백은 이젠 주님께서 나의 충성을 아시고 나의 최선의 사랑을 아신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하면, “이제부터 생명 바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란 고백입니다.


최선이란 집중하는 것입니다. 딴생각 없이 자신이 하는 일에 온 마음과 정성을 쏟는 것입니다. 혹이라도 불평, 원망, 불만스럽게 생각하면 그것은 최선이 아닙니다. 자신이 하는 일을 얼마나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즐겁게 생각하고 했느냐, 또 주어지는 기회마다 감사한 마음으로 했느냐 하는 것입니다. 시간에 대하여, 건강에 대하여, 지식에 대하여, 기회에 대하여, 주어진 능력에 대하여 얼마나 최선을 다했느냐 하는 것입니다.


내가 인생을 다 살고 나서 주님 앞에서는 그날, “너는 왜 최선을 다하지 않았는가?”라고 주님께서 우리에게 물으실 것입니다. 그 두려운 질문을 가슴 깊이 담아야 합니다. 여러분! 업적이나 실적, 성적이 좋으냐 나쁘냐, 몇 등이냐 하는 그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문제는 얼마나 최선을 다했느냐 하는 이것이 인생을 질적으로 평가하는 것입니다. 양적인 것을 묻는 것이 아니라 질적으로 묻고 있는 것입니다.


“최선을 다했느냐? 왜 최선을 다하지 않았느냐?” 여러분! 주님 앞에 갔을 때 우리가 내놓을 수 있는 대답이 무엇이겠습니까? 주님 앞에는 실적이나 업적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주님은 우리가 주어진 현실 여건 속에서 얼마나 최선을, 충성을, 사랑을 다했느냐 그것을 물으실 것입니다. 우리 모두 최선을 다함으로 하루하루 승리의 삶을 살아내시기를 축원하며 권면드립니다.


관련기사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