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30 (목)

  • 흐림속초18.9℃
  • 흐림22.5℃
  • 흐림철원21.9℃
  • 흐림동두천21.8℃
  • 흐림파주21.4℃
  • 흐림대관령20.2℃
  • 흐림춘천22.8℃
  • 흐림백령도17.3℃
  • 흐림북강릉22.0℃
  • 흐림강릉23.8℃
  • 흐림동해22.7℃
  • 흐림서울24.0℃
  • 흐림인천22.5℃
  • 흐림원주24.2℃
  • 구름많음울릉도23.1℃
  • 흐림수원24.9℃
  • 흐림영월24.4℃
  • 흐림충주25.1℃
  • 흐림서산25.7℃
  • 구름많음울진25.0℃
  • 흐림청주25.2℃
  • 흐림대전24.6℃
  • 흐림추풍령24.2℃
  • 구름많음안동25.8℃
  • 흐림상주24.6℃
  • 흐림포항26.0℃
  • 흐림군산23.4℃
  • 흐림대구25.3℃
  • 흐림전주24.7℃
  • 흐림울산23.4℃
  • 흐림창원23.4℃
  • 구름많음광주23.8℃
  • 흐림부산23.4℃
  • 흐림통영22.0℃
  • 구름조금목포25.0℃
  • 구름많음여수22.3℃
  • 흐림흑산도23.8℃
  • 흐림완도23.4℃
  • 흐림고창25.4℃
  • 흐림순천23.2℃
  • 흐림홍성(예)25.4℃
  • 흐림23.9℃
  • 구름많음제주22.7℃
  • 흐림고산21.4℃
  • 구름많음성산22.8℃
  • 구름많음서귀포24.1℃
  • 흐림진주24.3℃
  • 흐림강화21.2℃
  • 흐림양평22.7℃
  • 흐림이천24.1℃
  • 흐림인제22.7℃
  • 흐림홍천22.2℃
  • 흐림태백24.4℃
  • 흐림정선군25.9℃
  • 흐림제천24.4℃
  • 흐림보은24.1℃
  • 흐림천안24.7℃
  • 흐림보령25.4℃
  • 흐림부여24.6℃
  • 흐림금산23.6℃
  • 흐림24.6℃
  • 흐림부안24.3℃
  • 흐림임실24.3℃
  • 구름많음정읍25.9℃
  • 흐림남원23.9℃
  • 흐림장수22.8℃
  • 흐림고창군23.7℃
  • 흐림영광군24.5℃
  • 흐림김해시22.8℃
  • 흐림순창군24.0℃
  • 흐림북창원24.9℃
  • 흐림양산시24.6℃
  • 구름많음보성군24.4℃
  • 구름많음강진군24.3℃
  • 구름많음장흥24.0℃
  • 흐림해남23.3℃
  • 흐림고흥23.9℃
  • 흐림의령군25.5℃
  • 흐림함양군24.5℃
  • 구름많음광양시24.6℃
  • 구름많음진도군22.5℃
  • 구름많음봉화25.0℃
  • 흐림영주26.4℃
  • 흐림문경24.8℃
  • 구름많음청송군26.4℃
  • 구름많음영덕26.4℃
  • 구름많음의성25.8℃
  • 흐림구미24.8℃
  • 흐림영천24.1℃
  • 흐림경주시25.8℃
  • 흐림거창23.4℃
  • 흐림합천25.5℃
  • 흐림밀양24.7℃
  • 흐림산청24.0℃
  • 흐림거제21.4℃
  • 흐림남해22.9℃
  • 흐림24.1℃
기상청 제공
하나님의 시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나님의 시간

이정우 목사의 목회칼럼

안동서부교회 이정우 담임목사.jpg

이정우 목사

안동서부교회

 

 

‘하나님은 부서진 것들을 사용하신다’는 히브리 격언이 있습니다. 단단한 곡식은 부서져야 빵을 만들 수 있고, 포도주도 향수도 잘게 부서짐을 통하여 만들어집니다. 사람도 원숙한 인격과 신앙을 갖추려면 반드시 부서지는 과정을 밟아야 합니다. 부서짐의 강도가 성숙의 크기이기 때문입니다.

 

가을 추수 때가 되면 옛날 시골에서는 도리깨질 하는 장면을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 거두어들인 곡식을 앞마당에 펼쳐놓고 사정없이 도리깨로 후려칩니다. 농부는 곡식이 미워서 때리는 것이 아닙니다. 곡식의 껍데기를 벗겨내기 위함입니다. 알곡과 쭉정이를 가려내기 위함입니다. 우리의 농부이신 하나님도 우리에게 도리깨질을 하실 때가 종종 있습니다. 그때 우리는 아프다고 불평하고 소리를 지릅니다. 그래도 하나님의 도리깨질은 멈추지 않습니다.

 

그러나 도리깨질은 하나님의 사랑의 깊이입니다. 왜냐하면, 부서져야 사용하시고 부서진 만큼 쓰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장간의 대장장이도 일상적인 연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달구어진 쇠를 적당히 두들겨 댑니다. 그러나 특별하고 귀한 도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구슬땀을 흘러가며 한나절을 두들기고 또 두들깁니다. 대장장이의 두들기는 소리는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마음입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때’에 우리를 더 귀하게 쓰시려고 우리의 신음소리도 외면하신 채 두드리고, 깨뜨리고, 상하게 하십니다. 수치를 당하고, 초라하고 억울하게 하여 결국은 인생의 밑바닥까지 내려가게 하십니다.

 

기독교는 죽음을 통하여 살고, 버림을 통하여 얻고, 부서짐을 통하여 알곡 되고, 깨어짐을 통하여 쓰임 받고, 포기함으로 소유하게 됩니다. 바울 사도는 “나는 날마다 죽노라”고 했습니다. 하루만 죽어서는 안 됩니다. 날마다 주님과 함께 죽고, 부서지고, 깨어져야 합니다. 어쩌면 우리의 삶이 힘들고 고단한 이유는 우리의 고백이 “나는 날마다 죽노라”가 아니라 “나는 날마다 사노라”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어떤 때는 “하나님도 너무 하신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제는 좀 그만하셔도 되지 않느냐?”고 저항할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만하심’의 때는 하나님이 정하신 것이 아니라 내가 정한 것이었음을 깨닫습니다.

 

애굽의 학문에 능했던 모세는 40년의 세월이 필요했으며, 꾀 많고 권모술수가 능했던 야곱에게는 21년의 세월이, 꿈을 자랑했던 요셉에게는 13년의 세월이 필요했습니다. 하나님이 쓰시기에 편한 시간까지, 즉 자기가 죽는 시간까지 기다려야 했습니다. 하나님의 시간은 기다림의 시간입니다. 그리고 기다림은 또 다른 영적 능력입니다.

 

“주께서 그 사랑하시는 자를 징계하시고 그가 받아들이시는 아들마다 채찍질하심이라 무릇 징계가 당시에는 즐거워 보이지 않고 슬퍼 보이나 후에 그로 말미암아 연단 받은 자들은 의와 평강의 열매를 맺느니라.”(히12:6,11)

관련기사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